삼국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삼국지 인물열전<12> 삼국지 인물열전 난세에 일어난 군웅, 서촉을 유비에게 빼앗긴 종친 '유장' 양자강 등 4개의 강이 흐른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사천성(四川)은 2008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곳이다. 행정구역상 익주에 속하는 이곳은 땅이 넓고 물자가 풍부하여 자급자족이 가능했다. 익주목 유언이 죽자 그의 아들 유장(劉璋)이 그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암약(暗弱)한 인물이었다. 인근지역 한중의 지도자 장로가 세력을 키우며 국경을 어지럽히자, 유장은 장로의 어머니와 동생을 살해했고, 철천지원수가 되고 말았다. 이즈음 한중은 조조군에게 패퇴한 마초를 따라 이곳으로 넘어오는 서량의 주민들 때문에 인구가 크게 늘어났다. 조조는 장로를 회유하기 위해 관직을 주었고, 이에 고무된 장로는 서촉을 통째로 집어삼킬..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11> 삼국지 인물열전 난세에 일어난 군웅, 군웅들의 각축장인 형주의 준걸 '유표' 중원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형주는 옛날부터 인심 좋고 물자가 풍부하여 명현(名賢)들이 많이 모여 살던 곳이다. 자가 경승(景升)인 형주자사 유표(劉表)는 한실의 종친인데다 뛰어난 학식과 덕망까지 갖추고 있어 형주 주민들의 신망과 존경을 받아왔다. 유표는 사람사귀기를 좋아하여 늘 명사들과 어울렸는데 세상 사람들은 그와 자주 어울리는 여덟 명사를 ‘강하팔준(江夏八俊)’이라 불렀다. 이들은 중원을 뒤흔들고 있는 전란에도 아랑곳없이 풍류를 즐기며 유유자적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이곳에도 서서히 난세의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었다. 독재자 동탁을 토벌하기 위해 전국의 제후들이 연합군을 구성했을 때 형주자사 유표는 애써 외면하며 연합군에 ..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10> 삼국지 인물열전 난세에 일어난 군웅, 조조의 명실상부한 라이벌 '원소'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천하의 패권을 놓고 마지막까지 다툰 조조와 유비는 최고의 영웅으로 꼽힌다. 또, 삼국지 전반부에 등장하여 조조와 건곤일척의 자웅을 겨룬 원소와, 물려받은 나라를 지키는 데 탁월한 수완을 보인 손권은 최고에 버금가는 영웅으로 꼽힌다. 공손찬 원술 등은 다시 그 아래로 꼽힐 수 있으리라. 당대 최강의 전력으로 조조와 승부를 겨루다가 패망한 하북의 강자 원소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원소(袁紹), 자는 본초(本初). 사세(四世)에 다섯 정승을 배출한 명문가의 후예이다. 귀공자 같은 준수한 풍모, 기라성 같은 휘하 인재, 막강한 무력과 탄탄한 지역기반 등 패자(覇者)의 조건을 가장 많이 갖춘 인물이다. 젊은 ..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9> 삼국지 인물열전 난세에 일어난 군웅, 황제를 참칭한 군벌 '원술' “만약에 내가 없었더라면 얼마나 많은 무리들이 황제와 왕, 제후를 사칭하며 세상을 어지럽혔을지 모른다.” 조조는 만년에 자신이 걸어온 길을 회고하며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그의 말은 곧 현실이 된다. 조조가 죽자, 그의 아들 조비가 후한 황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 황제에 오르는 것을 필두로 촉의 유비, 오의 손권이 차례로 황제에 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조가 죽기 전에도 황제를 참칭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가 바로 효웅 원소의 사촌동생인 남양의 군벌 원술이다. 원술의 부침과정, 그리고 그가 조기에 패망한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원술(袁術), 자는 공로(公路). 사촌형인 원소와 함께 삼국지에 등장하는 군웅들 중에서 가장 화려한 가..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8>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⑦강동의 호랑이 부자(父子) '손견과 손책' 역사에 가정법을 쓰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손견이나 그의 아들 손책 중에서 한 사람이라도 오래 살았더라면 아마 삼국지의 스토리는 크게 달라졌을 것이다. 천하의 패권을 놓고 조조와 최후까지 결전을 벌인 사람은 유비가 아니라 이들 중 한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 이들 부자(父子)의 짧고 헌걸찬(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생애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손견(孫堅), 자는 문대(文臺). 강동 오군 출신으로, 손자병법으로 유명한 손무의 후예이다. 그의 어머니가 그를 잉태할 무렵, 조상들의 장지(葬地)에서 영롱한 광채가 솟아올라 구름을 오색으로 물들이며 하늘까지 뻗쳤다고 하는데, 손견을 낳을 무렵엔 창자가..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7>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⑥ 북방의 효웅(梟雄), 백마장군 '공손찬' 난세의 영웅들 중에는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의 뜻을 이루는 경우보다 중도에 탈락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중도에 탈락하는 인물은 틀림없이 그럴만한 요인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난세만큼 영웅들의 기량이 있는 그대로 노출되고 공정하게 평가되는 때도 없기 때문이다. 중도에 탈락하는 인물들의 실패요인을 찾아보는 것은 뜻을 세우고 꿈을 펼치려는 사람들에게 좋은 교훈이 되지 않을까 싶다. 중도에 패망하는 군웅 중의 한 사람인 공손찬의 활약상과 패망 요인, 그리고 남긴 업적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공손찬(公孫瓚), 자는 백규(伯珪). 중원의 최북방인 고구려와 인접한 요서지방의 빈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태어날 때부터 우렁..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6>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⑤ 서주를 유비에게 물려준 인물 '도겸' 도겸(陶謙), 자는 공조(恭祖). 공직생활을 오래한 문약(文弱)한 선비형 인물로, 황건적 토벌에 공을 세워 서주자사가 되었다. 그가 난세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겪게 된 조조와의 악연과 유비와의 인연, 그리고 그에 대한 사후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관해가 이끄는 황건적 5만이 북해성을 포위하자 북해태수 공융은 유비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유비는 관우 장비와 함께 군사를 이끌고 와서 관해의 목을 베고 황건적을 패퇴시켰다. 공융은 감사의 인사와 함께, 서주자사 도겸의 중신인 미축을 유비에게 소개했고, 미축은 서주가 처한 딱한 사정을 유비에게 들려주며 도움을 요청했다. 영제가 죽고 어린 소제가 즉위하자, 실권자가 된 소제의..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5>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④ '여포' 소설 삼국지에는 발군의 무용을 지닌 장수들이 많이 나온다. 화웅 안량 문추 여포 관우 장비 조자룡 하후돈 전위 허저 서황 태사자 감녕 마초 방덕 황충 위연…. 하나같이 일기당천의 무장들이다. 이 중에서 무예가 가장 뛰어난 사람은 누구일까? 무력으로 한의 제실을 차지한 동탁이 온통 공포 분위기를 조성해 놓고, 제멋대로 황제를 퇴위시키고 새 황제를 임명(?)하려 했을 때 감히 반대하고 나선 사람이 있었다. 병주자사 정원이었다. 그러고도 그가 무사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뒤에 양자(養子) 여포가 떡 버티고 서 있기 때문이었다. 맹호 같은 기상, 불을 뿜는 눈동자, 양날을 창으로 쓰는 방천화극을 꼬나 쥔 빈틈없고 늠름한 위용, 삼국지에 처음 얼굴을 내민 여..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4>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③ '동탁' 진시황 수양제 히틀러 스탈린 후세인…. 세계사에 등장하는 유명한 폭군과 독재자들의 이름이다. 이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매스컴이나 대중을 동원한 여론조작에 능하다는 점, 타협이나 논리, 정당성 같은 이성적인 것을. 싫어한다는 점, 적대세력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 공포정치를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삼국지의 초반부에 등장하는 동탁도 그런 점에서 당당히 독재자의 반열에 낄 만한 인물이다. 아니, 오히려 이들보다 더한 이력을 한 가지 더 갖추고 있다. 보통의 독재자들이 적대세력에게는 엄격하면서도 일반 국민들에게는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던 데 비해, 동탁은 적대세력은 물론 민중들도 무자비하게 억압하였던 것이다. 그가 대권을 잡는 과정과, 잡고 나.. 더보기 삼국지 인물열전<3> 삼국지 인물열전 1장 난세에 일어난 군웅들 ② '하진' 사람은 자신의 역량에 합당한 자리가 주어졌을 때 최대의 기량을 발휘한다. 기량의 크기가 자리(職位)보다 현저하게 크거나 현저하게 작으면 문제가 생긴다. 전자의 경우는 제갈량에 버금가는 준재로 꼽히던 봉추(鳳雛) 방통이 대표적인 예다. 처음에 시골 현령을 맡겼을 때는 매일 술만 마시며 세월을 보내더니, 나중에 서촉 정벌군의 군사(軍師)로 임명했을 때는 발군의 지략으로 큰 공을 세운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여기서는 후자의 경우, 즉 기량의 크기에 비해 직위가 현저하게 높을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아보자. 이의 예를 미모가 출중한 누이 덕분에 벼락출세한 대장군 하진의 부침과정을 통하여 살펴보면서, 아울러 삼국지의 서장(序章)이 열리는 과정을 살펴보.. 더보기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